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쇼트트랙 기본 규칙, 사용 장비 및 경기 용어 정리

by 피리팬 2023. 6. 13.
반응형

쇼트트랙 대회 규칙

쇼트트랙 경기는 30m와 60m로 이루어진 타원형 경기장에서 진행하며 먼저 들어오는 사람 순서대로 순위가 결정됩니다. 쇼트트랙은 선수들이 많이 출전하고 경기 중 종종 선수들 간의 신체접촉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세부 규칙들이 제정되었습니다. 심판은 빙판을 타는 도중 상대방의 진로를 방해하거나 악의적으로 상대를 밀어서 경기를 유리하게 가져가려는 행동 등 여러 가지 비신사적인 행위를 한 선수에 대해서 엄격하게 처벌하고 해당 경기에서 실격을 선언합니다. 악의적인 반칙은 경고의 의미로 옐로카드 한 장을 주는데 옐로카드를 받은 지 1년 이내에 한 장을 더 받게 된다면 레드카드를 받습니다. 레드카드를 받는 즉시 쇼트트랙 선수로서 자격이 2개월 이상 정지되며 반칙의 수위에 따라서 기간이 늘어날 수 있습니다. 억울하게 반칙을 당해서 해당 경기에 완주하지 못하게 된 선수는 어드밴티지를 받고 다음 라운드까지 올라갈 수 있습니다. 하지만 어드밴티지는 최대로 준결승까지만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 어드밴티지를 받은 선수는 출전 시에 AD로 표기되며 라운드에서 1등과 2등을 한 선수는 라운드 진행 전에 Q로 표시되므로 쉽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. 대회 기본 규칙 중 흥미로운 것은 앞에서 이미 자리를 잡고 달리는 선수는 자신의 자리를 지키기 위해 뒤에서 무리하게 달려오는 선수에게 적당한 방어 행위를 하는 것은 가능합니다. 또한 선두를 달리고 있는 선수와 2 바퀴 이상 차이가 날 경우 실격처리됩니다.

 

쇼트트랙에서 사용하는 장비

쇼트트랙에서 가장 중요한 장비는 스케이트라고 할 수 있습니다. 쇼트트랙 스케이트는 넘어지는 사고가 자주 일어나므로 이때 발생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 날 끝이 뭉툭합니다. 타원형 경기장이며 직선 코스가 짧고 곡선 코스가 많기 때문에 쇼트트랙의 스케이트는 곡선 코스 주행에 용이하게 만들었습니다. 특히 스케이트 날은 곡선 코스 주행 시 왼쪽으로 쏠리는 원리를 바탕으로 직선 모양이 아닌 왼쪽으로 굽은 모양입니다. 이렇게 날이 굽어 있는 것을 벤딩이라고 부르며 쇼트트랙 동작 중 오른쪽 발에 무게중심이 많이 실리기 때문에 오른발에 벤딩이 더 많이 들어갑니다. 빙판에서 많은 사고가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쇼트트랙을 즐기는 선수들은 트리코라는 복장을 입습니다. 트리코는 옷 내부에 보호대 소재들이 들어가서 간단한 부상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. 또한 스케이트 날에 옷이 찢어질 수 있기 때문에 방검 소재의 재질로 되어있습니다. 장갑은 다른 선수들의 스케이트 날로부터 손을 보호하기 위하여 착용하며 헬멧은 선수와의 충돌 후 벽과 부딪힐 때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장비입니다.

 

쇼트트랙의 전문 용어

AD 어드밴티지라는 용어로 쇼트트랙 대회 예선에서 억울하게 반칙을 당한 선수에게 주어지는 권리이며 다음 대진에 자동으로 진출 할 수 있습니다. AD는 결승전을 제외한 모든 대진에서 적용되며 라운드당 1번씩 적용됩니다. Q라는 용어는 자신의 라운드에서 다음 라운드로 진출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 선수에게 부여됩니다. 경기장 전광판에 뜨는 Q를 보고 라운드 진출 여부를 쉽게 알 수 있어서 필수 용어 중 하나입니다. PEN은 페널티를 뜻하며 다시 말해서 반칙패라고 볼 수 있습니다. 경기 중 악의적인 행위나 고의로 인하여 상대방 플레이를 방해한 선수에게 주어집니다. 또한 유리한 위치가 아닌 선수가 뒤에서 무리하게 추월시도를 하다가 충돌을 한 경우 추월시도를 한 선수에게 PEN을 부여합니다. DNF와 DNS는 레이스를 마무리 짓지 않거나 참여조차 하지 않은 경우에 선언하는 용어입니다. 일반적으로 선수들이 끝까지 완주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현재는 잘 사용하지 않는 용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.

반응형

댓글